정치&경제뉴스

5·18민주화운동 44주년 기념식… 尹 “풍요로운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 오월 정신 올바른 계승”

작성자 정보

  • 작성자 슈어맨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대한민국 민주주의와 인권 발전에 기여한 5·18 정신을 기리는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18일 거행됐다.
올해 기념식은 5·18 유공자와 유족 등 2500명이 초청돼 이날 오전 10시부터 45분간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렸다.
17160971453391.jpg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5·18 단체장·유가족·후손의 손을 잡고 입장해 헌화·분향한 윤석열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1980년 5월 광주의 뜨거운 연대가 오늘 대한민국의 자유와 번영을 이룬 토대가 됐다”며 “대한민국은 광주의 피와 눈물 위에 서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온 국민이 행복하고 풍요로운, 희망찬 미래로 나아가는 것이 오월 정신을 이 시대에 올바르게 계승하는 일이며 광주의 희생과 눈물에 진심으로 보답하는 길”이라며 “국민 모두 행복한 ‘서민과 중산층 중심 시대’를 열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기념식에는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 추경호 원내대표 등 여당 지도부와 의원·당선인들이 정부 인사들과 함께 참석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 녹색정의당 김준우 상임대표, 진보당 윤희숙 상임대표 등 야당 의원·당선인도 대거 참석했다.

‘오월, 희망이 꽃피다’라는 주제로 열린 올해 기념식은 국민의례, 여는 공연, 경과보고, 기념공연1, 기념사, 기념공연2, ‘님을 위한 행진곡’ 제창 순으로 이어졌다.
여는 공연으로는 5·18민주화운동 희생자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오월시 ‘당신 가고 봄이 와서’를 배우 서태화씨가 낭독했다.
김용택 시인이 1998년 발간한 시집 ‘꽃산 가는 길’에 수록된 5·18민주화운동을 다룬 시다.

첫 번째 기념공연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광주를 지킨 학생 희생자인 류동운·박금희 열사를 전남대학교 학생 대표들이 소개하는 내용으로 꾸며졌다.
1980년 당시 한신대 2학년이었던 류 열사는 아버지의 만류에도 도청에서 마지막까지 저항하다 숨졌고 춘태여상 3학년이었던 박 열사는 부상자를 위해 헌혈한 후 귀가하다 계엄군의 총격에 사망했다.
뮤지컬배우 이건명씨는 ‘아름다운 사람(김민기 곡)’을 노래했다.
17160971458009.jpg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기념 공연을 보던 중 눈물을 닦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두 번째 기념공연은 오월 영령의 꿈과 바람을 이어받은 현재 세대가 전하는 희망의 메시지가 영상으로 상영된 후 합창단이 ‘함께’를 노래했다.
기념식은 참석자들 모두 일어나 ‘님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윤 대통령은 기념식이 끝난 후 5·18 단체장들과 유족, 보훈처장 등과 함께 박금희·김용근·한강운 열사의 묘소를 참배했다.

5·18민주화운동 기념일은 1980년 신군부의 폭압을 거부하고 민주화를 요구하며 일어났던 5·18의 민주·인권·평화의 숭고한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1997년 5월9일 제정됐다.
박유빈 기자 yb@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33,661 / 4 페이지
번호
제목/내용

공지사항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