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아시아경제 손선희 기자]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2%를 웃돌며 3년 8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올랐다. 코로나19 백신 보급으로 경기회복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보복소비 등으로 단기간 물가가 급격히 오르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다만 정부는 지난해 기저효과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라며, 2분기가 지나고 나면 물가가 안정세를 찾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4月 소비자물가 2.3%↑…3년8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 지난 4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7.39로, 1년 전 같은 달에 비해 2.3% 올랐다. 2017년 8월(2.5%)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이다. 지난해 0%대를 이어 온 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0.6%, 2월 1.1%, 3월 1.5%로 오르더니 지난달 2%대를 넘어섰다. 상승률이 정부의 연간 기준 물가안정목표치인 2%를 웃돈 것은 2018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물가 상승은 식료품이 견인했다. 코로나19로 가계가 어려운 가운데 밥상물가까지 타격을 입은 셈이다. 세부 상품 별 물가등락을 살펴보면 농산물이 17.9%, 축산물이 11.3% 각각 상승하면서 농축수산물 전체 물가가 13.1% 올랐다. 농산물은 연초 작황이 부진했고, 축산물의 경우 AI 여파로 생산은 줄어든 반면 외식·학교 급식 등 수요는 늘어난 영향이다.
물가 상승은 오는 6월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2분기만 놓고 보면 정부의 물가목표치(2%)를 상회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농축수산물 수확기가 다가오고, 오는 6월이면 산란계 수도 평년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물가 상승폭은 축소될 것으로 정부는 전망했다. 국제유가도 하반기에 60달러대로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일시적 물가상승이 과도한 인플레이션 기대로 확산되지 않도록 안정적 물가관리에 총력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 비상'…정부 세제혜택 확대= 전 세계적으로 차량용 반도체 수급에 차질을 빚으면서 국내 자동차 생산도 타격을 받고 있다. 정부는 이번 달이 수급불안 정점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관련해 기업인이 부품조달 활동에 불편을 겪지 않도록 백신접종시 자가격리 면제 제도를 적극 활용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반도체 연구개발(R&D) 및 시설투자에 대해 세액공제 확대를 검토한다. 현행 세액공제 규모는 일반적으로 R&D 0~2%, 시설투자 1%가 적용된다. 신성장·원천기술의 경우 R&D 20~30%, 시설투자 3%가 적용되는데 이 역시 대규모로 투입되는 자금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불만이 업계에서 제기돼 왔다. 정부가 ‘획기적 육성’을 강조하고 나선 만큼 기존 세액공제 규모를 넘어서는 혜택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국회 인사 검증절차를 거쳐 새로 취임한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7일 취임식도 생략하고 반도체 현장으로 달려갔다. 반도체 수급 문제에 따른 관련 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문 장관은 성남 판교 실리콘마이터스에서 시스템반도체 업계와 간담회를 갖고 "반도체 투자관련 재정·세제·자금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文정부 집권 4년…부동산 뛰면서 자산격차 확대= 오는 주말이면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지 만 4년을 맞는 가운데 폭등한 부동산 가격으로 인해 자산격차가 더욱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KB국민은행 리브부동산에 따르면 KB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전국, 월간)는 2017년 5월 95.9에서 2021년 4월 현재 114로 18.95% 올랐다. 박근혜 정부 집권기간이었던 2013년 2월25일부터 2017년 5월10일까지 매매가격지수 상승률(8.74%)에 비해 상승률이 2.17배나 커졌다. 문 정부 집권기간 주택매매가격지수 상승률은 이명박 정부 집권기간 지수 상승률인 13.09%보다도 더 높았다. 서울 지역으로 좁혀 살펴보면 상승률은 훨씬 더 뚜렷하다. 문 정부 집권기간 서울 주택매매가격 종합지수는 34.95%나 뛰었다. 박근혜 정부(7.83%), 이명박 정부(1.96%) 당시에 비해 서울 집값은 특히 폭등했다.
부동산 매매가격도 급등했다. 문 정부 출범 이후 전국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 가격은 1255만원에서 1887만원으로 50% 상승했다. 특히 지난해 2030세대의 패닉바잉(공황매수)이 집중된 서울은 2322만원에서 4304만원으로 85% 급등했다. 서울에서 84㎡(전용면적) 중형 아파트를 마련하려면 평균 11억원에 가까운 자금이 필요한 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