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지난해 8월 기상청의 무더위 전망과 달리 전국 곳곳에서 역대급 집중호우가 발생했다. 지난 한해 집중호우·태풍으로 인한 재산피해액만 1조2585억원으로 과거 연 평균 3배에 달했다. 기상청이 최근 발표한 2020년 자체평가보고서를 보면 예보 정보 생산 관련 8개 과제는 ‘우수’ 평가를 받았다. 보고서의 개선·보완 사항에는 ‘집중호우 같은 돌발적·국지적인 기상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예측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면서 ‘폭우 예보도 많이 오는 것을 놓친 적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시민들과 언론의 비난이 지나치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기상청은 ‘예보 정확도에 대한 오해로 인해 확산되는 측면이 있다’며 예보정확도 평가에 대한 대국민 이해도를 높이겠다고 했다. 자체평가에 예보평가지수를 추가 공개하고 국민 체감형 신규 평가지수를 마련하기로 했다. ‘국민체감 성과지표 설정 노력도’ ‘정책성과에 대한 국민체감도’ 등도 별도로 평가하고 대국민 설문조사도 진행하겠다고 했다.
기상청은 ‘강수예보 정확도’가 92%라고 주장하지만 감사원은 2017년 ‘강수예보 적중률’은 46%라고 지적하며 정확도라는 기준이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한 바 있다. 강수예보 정확도는 비 예보를 하지 않고 비가 안 내린 경우도 예보가 맞다고 계산하지만, 적중률은 비온다고 하고 비가 올 때 예보가 맞은 것으로 본다. 두 배나 차이가 나는 이유다. 폭우예보가 ‘오보’라면 그나마 다행이다. 대비가 없었던 상태에서 맞닥뜨리는 폭우는 오보보다 더 끔찍한 인재(人災)다.
5월에 발표한 여름철 기상 전망이 정확히 빗나갔다. 기상청은 강수량 편차가 컸고 불확실성을 감안한 선제대응이 오보로 인식된 것을 오해라고 여기는 듯하다. 오해 해소보다 시급한 것은 신뢰 회복이다. 국민에게 ‘예보정확도’를 이해시킨다고 해서 기상청이 오보청이라는 오명을 벗을 순 없다. 시민들이 체감하는 일기예보는 예보정확도가 아니라 적중률에 더 가깝다. 기상청이 국민체감도를 평가기준에 반영하기로 한 만큼 예보기술 역량을 끌어올리고 시민들의 냉정한 평가에 더욱 귀를 기울여야 한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