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뉴스

식중독, 7·8월보다 선선한 9월에 더 발생… 이유는?

작성자 정보

  • 작성자 슈어맨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지난해 식중독이 7월이나 8월보다 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소 선선한 날씨로 음식점 등에서 상온에 식품을 보관하는 등 부주의 한 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3년 식중독으로 신고 된 건 중 사람 간 감염 등 식중독이 아닌 사례를 제외한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1724313141374.jpg
연구원들이 식중독균 배양분리작업을 하고 있다.
뉴시스
지난해 식중독 발생 건수는 359건, 환자 수는 8789명을 기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유행했던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비교했을 때 평균 발생 건수는 약 1.5배, 환자 수는 약 2배 이상 많이 발생했다.

코로나19 유행 기간에는 손 씻기 등 개인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외부 활동이 감소함에 따라 2020년 식중독 발생 건수는 역대 최저수준이었으나, 엔데믹 전환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되면서 지난해 식중독 발생 건수가 코로나19 이전 수준만큼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월별로 살펴보면 기온이 높은 여름철(7~9월)에만 식중독이 121건 발생했다.
전체의 33.7% 수준이다.
특히 7, 8월보다 9월에 43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폭염이 지속하는 7, 8월에는 보관 온도 등에 유의하지만 9월 낮에는 식중독이 발생할 만큼 기온이 상승하는 반면 선선한 날씨가 나타나는 9월에는 음식점 등에서 다소 부주의한 점이 작용한 탓이다.
17243131416739.jpg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시설별로는 음식점이 식중독 발생 건수 200건, 환자 수 3526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학교 외 집단급식소에서 47건, 학교 21건 순이었다.
특히 야외활동 증가로 인해 음식점 등에서 조리한 도시락, 대량 조리 배달 음식에 의한 식중독 발생이 증가했으며, 예식장 등 뷔페에서 식중독이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 병원체는 노로바이러스 62건, 살모넬라 48건, 병원성 대장균 46건 순으로 나타났다.
노로바이러스는 오염된 생굴 또는 지하수 등을 섭취했을 때 발생하거나 감염된 환자의 분변이나 구토물, 오염된 손 등 사람 간 접촉으로 전파되므로 익혀 먹기, 개인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1724313141988.jpg
서울의 한 대형 마트에서 시민들이 계란을 구매하고 있다.
연합뉴스
살모넬라 식중독은 오염된 달걀껍데기에서 다른 식품으로 살모넬라균이 교차오염이 될 수 있으므로 달걀을 만진 후에는 반드시 세정제 등을 사용해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은 가열조리 없이 섭취하는 생채소나 육류에서 많이 발생하므로 채소류는 염소 소독액에 5분간 담근 후 수돗물로 3회 이상 세척해 섭취하는 것이 좋다.
육류는 중심온도 75℃, 1분 이상 충분히 가열해 조리해야 한다.

지역별 인구수를 고려한 인구 백만 명당 식중독 환자 수는 광주광역시가 635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강원특별자치도 330명, 충청북도 326명 순으로 집계됐다.

식약처는 “8월 하순까지도 폭염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있어 손 씻기와 익혀 먹기 등 식중독 예방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조희연 기자 choh@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8,635 / 2 페이지
번호
제목/내용

공지사항


알림 0